상태는 사진참조 바랍니다
크기:51*24센치
보내1층21상1철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밀양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상직(盧相稷)[1855~1931]은 1855년 11월 21일 경상남도 김해군 생림면 금곡리에서 아버지 노필연과 어머니 성욱호의 딸 창녕성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소눌(小訥), 눌인(訥人), 자암병수(紫巖病叟)이다. 형은 대눌 노상익(盧相益)이다. 1871년 장수황씨와 혼인하여 1남을 두었고, 장수황씨 사후 진양하씨와 혼인하여 4남을 두었다.
노상직은 1865년 김해부사 성재 허전의 제자가 되었다. 1882년 28세에 동당시에 입격하였다. 1883년 집안 재실인 창녕 국동의 추원재에서 하과를 개설하고 강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1895년 밀양 금곡에 금산서당을 건립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1896년 밀양 노곡에 ‘자암초려’를 짓고 강학을 확대하였으며, 자암일록을 기록하였다.
1911년 12월 압록강 건너 서간도 안동현 흥륭가로 망명하였다. 대눌에게 입적한 아들 노식용을 잃은 후 고향으로 돌아가 후학 양성에 힘쓰라는 대눌의 권고를 받아들여 1913년에 환국하였다.
이후 자암서당을 건립하여 강학을 재개하고 선현의 서책을 간행하였다. 1919년 독립 청원을 위하여 작성한 파리장서에 제자들과 함께 서명하였다가 옥고를 치렀다. 1923년 3월 창립한 밀양교육회의 고문으로 참여하였으며, 1925년 경남 유교협성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 3월 24일 마산에서 77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부음을 듣고 각지에서 모인 제자가 1,000여 명에 달하였다.
노상직은 1934년 48권 25책, 판목 1123장의 문집이 간행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역사지리서 『강역고』, 인명사전 『동국씨족고』, 여성교육 교재 『여사수지』등이 있다. 소눌문집 책판은 1979년 12월 29일 경상남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노상직의 묘소는 2009년 6월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금곡리에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 안치되었다.노상직은 파리장서에 서명한 공로가 인정되어 2003년에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