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3*29.5센치
보내1층16상2
**일제 강점기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종무(宗茂), 호는 독산(篤山).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 악거부정(樂居副正)을 지낸 이덕부(李德富)의 23세손이며, 조선 후기 문인 학가재(學稼齋) 이주(李)[1599~1669]의 10세손이다. 아버지는 인재(忍齋) 이기준(李驥埈)이다.
이만성(李萬成)[1872~1922]은 1872년 2월 25일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길 119-4[안포리 699]에서 태어났다. 성장하면서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향리에서 석학(碩學)으로 명성이 높았다. 약관의 나이에 초시에 합격했으나 어머니상을 당하자 과거를 포기하고 아버지 봉양에 온 힘을 다하였다.
1919년 3월 프랑스에서 열리던 파리 강화 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 곽종석(郭鍾錫)·김창숙(金昌淑) 등이 파리 장서[독립 청원서]를 작성하여 보낼 때, 한국 유림 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 특히 파리 장서 운동[제1차 유림단 의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장석영이 파리 장서를 기초할 때부터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의 「통고 국내문(通告國內文)」에도 서명을 하고 이를 각지로 전달하였다.
파리 장서 운동은 1919년 4월 2일 오후 1시에 시작된 성주읍 장날 만세 시위 과정에서 주동자들이 붙잡혀 조사를 받으면서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었고, 관련 유생들이 각지에서 대대적으로 검거될 때 이만성도 체포되었다. 1920년 3월 6일 대구지방검찰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로 심문을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 처분을 받고 풀려났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