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19.5*28센치
보내1층15상4
**序: 崇禎四庚申(1860)仲秋日...金學性君 崇禎五庚午(1870)淸和節西河任憲晦序
跋: 時重光赤奮若(辛丑, 1901)臨之下澣德恩宋秉璿書
被傳者 : 李瓊(麗末-鮮初)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호는 관산(鸛山). 성산 이씨(星山李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 대 개국벽상좌명공신(開國壁上佐命功臣) 이능일(李能一)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능일의 5세손이 이견수(李堅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능일의 15세손 이중화(李重華)이다. 참봉(參奉) 벼슬을 한 이중화의 호가 기국(杞菊)·기국옹(杞菊翁)이어서 이중화를 기국공파(杞菊公派) 파조(派祖)라고 한다. 이중화는 성주읍 소비곡(所非谷)[현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시비실]에서 살았고, 뒤에 후손들은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용흥리 연포와 율포,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등지로 이주하여 세거하고 있다.이경(李瓊)[1559~?]은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교유하였으며, 경서에 밝고 행실이 단정하였다. 『성산지(星山誌)』와 문중 홈페이지에 의하면, 이경은 임진왜란 때 군자감 봉사(軍資監奉事)를 지냈다고 한다. 군자감은 고려 때 군자시(軍資寺)에서 바뀐 관청으로서 군량미 등 군수품 관리를 맡았다. 군자감 봉사는 종팔품 벼슬이었다. 이경의 증조할아버지인 이중화가 종구품인 참봉이었기에 이경에게 종팔품 정도의 직이 제수되었다고 추측된다. 행적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성주가 낳은 영남학파의 대표 학자인 정구가 무리포(茂理浦)에서 여러 유생들을 가르치고 있을 때 찾아온 이경을 보고 학문에 독실한 선비를 늦게 만나게 되어 애석하다고 할 정도로 학문의 경지가 높았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