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5*30.5센치
보내1층15상4
***2권 1책. 목판본. 1816년(순조 16) 정교(鄭墧)의 교열을 거쳐 후손 중조(重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권1에 시 33수, 부(賦) 2편, 표(表) 1편, 계문(契文) 1편, 논 2편, 책문(策問) 3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금릉지(金陵誌) 등이 수록되어 있다.부의 「삼공불환차강산(三公不換此江山)」은 저자가 성균관진사로 있으면서 동당과(東堂科)에 여러 차례 장원도 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와 천석(泉石)의 아름다움을 낙으로 삼아 삼공(三公)과도 바꿀 수 없다면서 은거의 결의를 표현한 것이다.책문 가운데 「왕정필자경계시(王政必自經界始)」와 「전폐책(錢弊策)」은 모두 동당과에 장원한 과문(科文)이다.「왕정필자경계시」는 맹자(孟子)가 필전(畢戰)에게 일러준 뜻을 확충하여 서술한 것이다. 그 내용은 임진왜란 때 수백 년 동안 전해 내려오던 전부(田簿)가 불타고 상고할 수 없어 국고는 고갈되고 국민은 징세(徵稅)와 책역(責役)에 시달리고 있으니 경계를 바로잡을 것을 건의하고, 경계를 바로잡으려면 반드시 인정(仁政)을 먼저 실시하여야 하며, 위에서 아무리 인정을 시행하려 하여도 일선행정을 맡은 사람이 제대로 하지 않으면 시행될 수 없으니 인재등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전폐책」 역시 임진왜란 뒤의 경제적 어려움과 민생의 참담한 양상을 서술한 것으로, 사치와 낭비를 줄여서 국민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잘못 들어온 재물은 잘못 나가게 된다는 『대학』의 구절을 들어 덕은 근본이고 재물은 지말(支末)이니 새 법안을 설정해 새 화폐를 만들고 광산을 채굴하는 것은 시급한 일이 아니니, 우선 세금을 삭감해 백성을 요족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이 두 편의 책문에서 임진왜란 뒤 국가의 경제상황과 사회면의 편모를 살펴볼 수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