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1*30.5센치
보내1층14상5
**序: 閼逢攝提(1914)....張錫英
跋: 李萬成; 李鐸英; 李李埈
刊記(推定): (家狀)...高宗乙酉(1885)...遂考終(李李埈跋)...癸丑(1913)...翌年(1914)...付活字...告成...
**조선 후기 병인양요 때 의병 활동을 한 성주 출신의 문인.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순약(舜若), 호는 일산(一山). 할아버지는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한 천관(川觀) 이병영(李秉瑩)이고 아버지는 이우준(李宇峻)이다.
이탁소(李鐸韶)[1836~1885]는 1836년(헌종 2)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났다. 자라서는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독서와 수양에 침잠해 학덕이 높았다. 경전(經傳)과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에 널리 통달했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과 학문에 주력하였다. 스승이 사칠변(四七辨)을 학문의 요체라고 강조한 후로 이학을 열심히 연구하여 「이기성정유석지변(理氣性情儒釋之辨)」을 편집하고 스승에게 교정을 청하니, 유주목이 크게 칭찬하며 ‘운도집수(雲陶輯粹)’라고 명명하고 서문을 써 주었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유주목이 의병장으로 출전하게 되자, 의진 서기(義陣書記)가 되어 동행하며 일록(日錄)을 썼다. 내용은 자신의 문집 권4의 「상의군사실(尙義軍事實)」, 「상의군사실소서(尙義軍事實小序)」 등에 실려 있다. 1885년(고종 22) 사망하였다.
저술로는 『일산문집(一山文集)』, 『안자전서(顔子全書)』, 『대학휘경(大學彙敬)』, 『동자주해(董子註解)』, 『운도집수(雲陶集粹)』, 『동례(東禮)』 등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