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2*31.5센치
보내1층14상4
**跋: 宋浚弼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성세(聖世), 호는 제남(霽南)·기국정(杞菊亭). 도균(都勻)[1483~1549]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도처홍(都處洪), 할아버지는 도영정(都永鼎), 아버지는 도명해(都命諧)이다.도상욱(都尙郁)[1732~1814]은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은행정에서 태어났다. 학문이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였고, 영남 유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도상욱은 후진 양성의 장을 만들기 위해 성주 기국정(星州杞菊亭)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흉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당시 성주목사인 성종인(成鍾仁)이 건립 비용을 지원하여서 1795년(정조 19) 2월 성주 기국정을 완성하였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일(一) 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대청마루, 온돌방, 온돌방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목재는 비교적 건실한 것을 사용하였고, 건축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정조(正祖) 초년에 전국 읍지를 편찬하라는 왕명이 내려지자 『성주읍지(星州邑誌)』의 찬수와 교정에 참여하였고,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하였다. 한편 임진왜란 때 공신 제말(諸沫)의 포상이 누락된 사실을 상소하여, 문충(文忠)의 시호를 증시(贈諡)받고 충절사(忠節祠)에 봉안하게 하였다. 두 차례의 천거에도 관직을 사양하였다. 또한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던 청천서원(淸川書院)에서 동강 김우옹의 문집 중 빠진 내용을 인쇄하여 배포하는 일을 주관하기도 하였다.1786년(정조 10)에 『암곡방지(巖谷坊誌)』를 편찬하였다. 문집으로 『제남문집(霽南文集)』이 있다. 4권 2책으로, 서(序)는 장승택(張升澤)이 작성하였고 발(跋)은 송준필(宋浚弼)이 작성하였다. 또한 1797년(정조 21) 『정사대동보(丁巳大同譜)』를 만들 때에 발문(跋文)을 작성하였다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