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6,47 1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6,47  1책
    목활자본 성주출신
    150,000
  • 1901년 목판본 고령출신 양천최씨 최호문(崔虎文) 송애집(松厓集) 4권2책완질
    1901년 목판본
    400,000
  • 1600년대 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년보(退溪先生年譜) 3권1책완질
    1600년대 목판본
    400,000
  •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27,28  1책
    고목판본 이황(李滉
    200,000
  • 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4,45  1책
    목활자본 성주출신
    150,000
  •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5,6  1책
    고목판본 이황(李滉
    200,000
  •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29,30  1책
    고목판본 이황(李滉
    200,000
  • 목판본 서흥김씨 김굉필(金宏弼) 경현록(景賢錄)별록,속록,보유 3책완질
    목판본 서흥김씨 김
    600,000
  •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37,38  1책
    고목판본 이황(李滉
    300,000
  •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9,10  1책
    고목판본 이황(李滉
    200,000
  • 1600년대 고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45,46  1책
    1600년대 고목판
    300,000
  • 초간목판본 이황(李滉)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 권1,2  1책
    초간목판본 이황(李
    400,000
  • 1950년초판 박노아(朴露兒) 전봉준 녹두장군
    1950년초판 박노
    600,000
  • 목활자본 전의이씨 이근만(李根萬) 소봉집(小峯集) 4권2책완질
    목활자본 전의이씨
    400,000
  • 목판본 진주강씨 강학준(姜學濬) 한글,언문수록 한계선생문집(寒溪先生文集) 권1~3  1책
    목판본 진주강씨 강
    4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9,309
어제
11,653
최대
13,072
전체
8,012,129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443,495,000원/14,101건
근대도서
3,205,238,500원/40,178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06,720,000원/2,756건
교과서
444,505,000원/5,516건
간찰
68,145,000원/1,219건
한국미술품
429,735,500원/3,654건
일본미술품
1,011,103,500원/23,918건
중국미술품
513,372,000원/9,847건
기타
1,065,803,500원/11,407건
전체합계
11,666,375,500원/115,279건
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6,47 1책 > 고서적
리뷰 0 위시 0

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6,47 1책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42540917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시대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150,000원
포인트 1,5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목활자본 성주출신 성리학자 성산이씨 이진상(李震相) 한주집(寒州集) 권46,47 1책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1.5*31센치

보내1층14상2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대표적인 성리학자.

본관은 성산()[성주]. 자()는 여뢰(), 호는 한주(), 산교(), 동교(), 정와(), 운도재(). 할아버지는 이형진()[1772~1834], 아버지는 이원호()[1790~1859]이고, 어머니는 의성 김씨 김종옥()이다. 응와() 이원조()[1792~1871]의 장조카이고, 정재() 유치명()[1777~1861]의 사촌 처남이다. 첫 번째 부인은 순천 박씨 박기진()의 딸로 1839년에 사별했고, 두 번째 부인은 흥양 이씨 이기항()의 딸로 1840년에 재혼하여 슬하에 1남 5녀를 두었다.

이진상()[1818~1886]은 1818년(순조 18) 성주군 대포리()[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 마을]에서 2남 4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원호와 숙부 이원조의 가학에 힘입어 초년에 여러 차례 초시()에 합격했지만, 대과까지는 나아가지 않았다. 17세 때인 1834년에 성리학에 본격적으로 몰두하여, 이듬해 「성명도설()」을 지을 정도로 학문적 탁월함을 드러냈다.
20세 때인 1837년 도산서원에 배알한 후로 「성학도설()」, 「기삼백해()」, 「인도설()」, 「심경도설()」, 「야기잠()」, 「명성잠()」, 「이단설()」 등을 20대에 다 지었다. 특히 1840년에 지은 「이단설」은 주기론()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20대 후반에는 과거에 뜻을 두어 1844년 증광문과 초시에서 장원하고 대과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일원만수도()」, 「성정심설()」 등의 저술을 남겼다. 1849년[33세]에는 증광 생원시에 합격했고, 가을에는 「용구도()」를 지었다. 이듬해 증광시에 장원하여 복시에 응했다가 숙부가 경주부윤으로 있으면서 어떤 사건에 연루되는 바람에 과거를 포기하고 낙향하여 오로지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30대에는 본격적으로 학문의 길로 접어들었고, 자신의 서실 편액을 ‘조운헌도재()’[약칭 운도재]라 명명하였다. 운곡노인() 주자()를 조술()하고 도산()에 살았던 퇴계를 본받겠다는 학문적 취지를 분명히 밝힌 것이었다. 이런 학문적 취지 표명을 출발점으로 하여 한강() 정구()의 문묘 배향을 청하는 상소를 지었고, 『직자심결()』, 「사칠변()」, 「주자언론동이고변()」, 「남당집변()」, 「곤지기변()」, 「대학차의()」, 「중용차의()」, 「태극도차의()」, 「심자고증()」, 「통서차의()」, 「근사록차의()」, 「이기동정설()」, 「성정집설()」, 「지동기동변()」, 「주재도설()」 등의 저술을 연이어 남겼다.
40대에는 운곡서원()에서 『심경』 강학을 시작했고, 「독김농암사단칠정설()」을 지었다. 1859년 부친상을 당한 이후에도 「독례차의()」, 「논어차의()」, 「주자대전차의()」, 「퇴계집차의(退)」, 「임창게집사칠변()」, 「임녹문집고변(鹿)」, 「계몽차의()」 등의 저술을 남겼다. 특히 1861년[44세] 겨울에는 「심즉리설()」을 내놓으며 ‘마음이 바로 이()라는 설’을 완성하였다. 이후 「맹자차의()」, 『역학관규()』, 「삼역고()」 등을 짓던 와중인 1864년에 모친상을 당했음에도 학문적 연속성을 놓지 않고 『사례집요()』, 『묘충록()』 등의 저술을 남겼다.
50대에는 회연()서원에서 『대학』 강학을 시작하였다. 당시 이진상은 저술들을 편집하거나 교정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주목할 만한 교정 저술들로는 『청천당문집()』, 『주자서절요집해()』, 『응와집()』 등이 있고, 저술로는 58세 때인 1875년에 지은 『춘추집전()』이 있다. 60세이던 1877년에는 『춘추익전()』, 『천고심형()』을 집필하며 「태극도설」을 강했으며, 이듬해에는 『중용』과 『근사록』을 강하고, 『이학종요()』를 지었다. 이어 『퇴휴집(退)』, 『역학관규』, 『이학종요』 등의 책들을 교감했고, 이전보다 더 자주 명승지를 찾았다. 67세 때인 1884년에는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교감 작업과 명승지 유람을 이어갔다.
1886년 10월 부인 흥양 이씨가 죽고 사흘 만에 6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이진상의 학문적 삶과 성과는 19세기 후반 주문팔현()을 중심으로 하는 한주학파()의 형성을 이끌었다.주요 저술은 문집으로 1895년 아들 이승희()가 거창 정천() 원천정()에서 49권 25책으로 간행했고, 1928년 제향 공간인 삼봉서당()에서 22책[원집 38권, 부록 5권]으로 개정하여 중간하였다. 문집 이외에도 『이학종요()』[1878] 22권 10책, 『사례집요()』[1865] 16권 9책, 『묘충록()』[1866] 4권 2책, 『춘추집전()』[1912] 20권 10책, 『춘추익전()』[1877] 3권 3책, 『천고심형()』[1877] 상하권 2책, 『직자심결()』[1851] 상하권 1책, 『구지록()』 23책, 『변지록()』 4책 등을 남겼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