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상단모서리 여백 일부 떨어짐)
크기:21*31센치
보내1층14상2
***序: ...許傳
跋: 易簀後一百二十一年庚戌(1910)...[安]鍾河
刊記(推定): ...(行狀)...卒于正廟己酉(1789)...[跋]...活字印出幾十秩
**조선 후기 밀양 출신의 학자.
안경점(安景漸)[1722~1789]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정진(正進)·지진(止進), 호는 냉와(冷窩)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동만(東巒) 안상한(安翔漢)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안시태(安時泰)이며, 할아버지는 안흠(安欽)이다. 아버지는 안신형(安信亨)이다. 아내는 이지수(李之遂)의 딸이다.안경점은 1722년(경종 2)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태어났다. 50세 때인 1771년(영조 47) 식년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나 조정에 시기하는 자가 있어 앞길이 순탄치 못함을 깨닫고 안경점은 관직을 버리고 관동(關東)의 산수를 유람하였다. 안경점은 1789년(정조 13)에 사망하였다.안경점은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문인이며,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과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으며, 함께 은거하여 공부하는 서실을 만들고 ‘취변재(聚辯齋)’라고 하였다. 취변재에서 안경점은 강학(講學)을 독실히 하며 후진을 가르쳤다.
후손인 안인원(安仁遠)·안지원(安志遠) 등이 안경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냉와문집(冷窩文集)』을 간행하였다. 5권 2책의 『냉와문집』은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종현손 안종하(安鍾河)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64수, 권2에 서(書) 14편, 권3에 잡저 3편, 서(序) 1편, 기 1편, 발 5편, 명(銘) 2편, 상량문 2편, 축문 7편, 제문 10편, 권4에 애사 4편, 묘지 4편, 행장 4편이 실려 있다. 권5는 부록으로 사우왕복(師友往復) 45편, 만(挽) 5수, 제문 4편, 행장 1편, 행록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