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서문 맨앞옆면에 조금 탈락있음)
크기:20*29센치
보내1층14상2
**序: 萬曆丁酉(1865)後二百六十九年乙丑(1865)....金岱鎭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의성 김씨(義城 金氏) 시조는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석(金錫)으로 고려 초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기에 그 후손들이 의성 김씨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8세손 김공우(金公瑀) 대에서 크게 번성했는데, 장자 김용비(金龍庇)는 태자첨사(太子瞻事)를, 차자 김용필(金龍弼)은 수사공(守司空)을, 막내 김용주(金龍珠)는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였다.
김용비의 후손인 김응택(金應澤)의 자는 취용(就用), 호는 백암(栢巖)이다. 고조는 사직(司直) 김중손(金仲孫)이며, 증조는 성주(星州)로부터 장동(章洞)[영천시 임고면 금대리]으로 이주한 김희달(金希達), 조부는 김억(金億), 아버지는 참봉(參奉) 김순번(金順蕃)이다. 부인은 월성 이씨(月城 李氏)로 슬하에 아들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김경룡(金景龍)이 있다.
김응택관련항목 보기은 1551년(명종 6) 10월 26일에 태어났다. 어려서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여묘 3년을 살고 아버지에게 효성과 공경을 다하였다. 임진왜란을 당하자 족숙 김득추(金得秋)와 김자평(金自平)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켜 영천·경주·울산 등지에서 공훈을 세웠다. 조정에서 훈련원봉사(訓練院奉事)에 이어 훈련원정(訓練院正)을 제수하였으나 뜻을 두지 않았으며, 1597년(선조 30) 12월 21일 울산 서생포(西生浦)에서 적과 싸우다가 순국(殉國)하였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