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30.5센치
보내1층18상3
**김성탁(金聖鐸: 1684生 ~ 1747卒) 자는 진백(振伯). 호는 제산(霽山). 본관은 의성(義城) 경북 영양의 청기현(靑杞縣)에서 출생,적암 김태중(適庵 金台重)에게 배웠고 시 영남의 남인 영수인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을 아가 그 문하의 고제가 되었다. 1728년(영조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창의소(倡義所)에서 역문(討逆文)을 지어 각지 유문(儒門)에 발송하였고 핵사의 천거로 다시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감진어사 이종백(李宗白)의 천거로 사과(司果), 사축서별제(司畜署別提)등을 거치고 치평의 요점을 영조에게 건의함. 1737년(영조13년) 스승인 갈암 이현일의 신원(伸寃)하는 소를 올렸다가 정의에 유배되었고 다시 광양(光陽)과 지도(薪智島)로 이배(移配)되었고 1747년 광양의 용선암(龍仙庵)에서 유배생활 10년만에 64세로 졸하였다. 글을 잘 지었고 갈암의 문하에서 밀암 이재와 함께 퇴계학통 계승자로서 대 맥을 이루었다.그의 학문은 구사당 김락행(九思堂 金樂行)이 계승하였고 난곡 김강한(蘭谷 金江漢), 우고 김도행(雨谷 金道行), 그의 외손 묵헌 이만운(默軒 李萬運) 등에게 전승되었으며 락행의 학문은 다시 만곡 조술도(晩谷 趙述道), 회병 신체인(晦屛 申體仁),조진도(趙進道) 등에게 전승되고 그 후 학파 조성복(鶴坡 趙星復), 조홍복(趙弘復), 조언휴(趙彦休),조언국(趙彦國), 조연복(趙淵復) 등이 가학으로 이었다.영조에게 성(誠)이 만선(萬善)의 기요(機要)이며 경(敬)은 성(誠)하는 공부(工夫)이니 정심(正心)의 학문함에 무실력행(務實力行)함의 미진(未盡)이 없도록 하라는 진언을 하였다. 한 탕평(蕩平)을 간곡히 주장하였다. 저서:제산집(霽山集)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