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19*27센치
보외1층앵글45상6
**조선 후기 성주에서 한강 정구에게 수학한 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字)는 문원(聞遠), 호는 농운(隴雲). 이지활(李智活)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이명륜(李命崙), 증조할아버지는 생원(生員) 이우(李瑀), 할아버지는 만호(萬戶) 이한주(李漢柱)이다. 아버지는 군수(郡守) 이성업(李成業)이고, 어머니는 류동로(柳東老)의 딸이다.
이시함(李時馠)[1575~1660]은 1575년(선조 8) 경상도 영천(靈川) 관동(館洞)[현 경상북도 고령군 관동면]에서 태어났다. 약관의 나이에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위기지학(爲己之學)[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을 듣고 도학의 뜻을 지니게 되었고, 노극홍(盧克弘), 김집(金檝), 이현룡(李見龍), 이문룡(李文龍), 박공구(朴羾衢) 등 당대의 명현들과 교유하였다.
1607년(선조 40)에는 스승 한강을 모시고 장현광(張顯光), 곽재우(郭再祐) 등 도내 선비 35명과 함께 함안(咸安) 용화산(龍華山) 아래 낙동강에서 뱃놀이를 즐겼다. 1610년(광해군 2)에 정구가 박이립(朴而立)에게 무고를 당하자 김녕(金寧), 이천봉(李天封) 등과 함께 궁궐의 문지기를 불러 그 원통함을 말하였다.
아내의 상을 당하여 의심나는 예를 묻자 선생께서 조목별로 답했고, 스승이 세상을 뜨자 통곡하고 한결같은 정성으로 상례를 마쳤다. 스승을 위하는 일이면 반드시 참여하여 정성을 다하고 협심하여 일을 도모하였다. 1650년(효종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나아가지 않았다. 집안에서 몸과 마음을 수양하며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1990년 후손 이상렬(李相烈)·이원희(李源熙)가 엮은 『농운선생실기(隴雲先生實紀)』가 있다.
경상북도 고령군 관동면 뒷산 남쪽 언덕에 있다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 3리에 있는 상친사(尙親祠)에 배향하였다. 1955년 후손들이 학덕을 추모하여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자양리 금단 마을 북쪽 언덕에 모운재(慕雲齋)를 건립하였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