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1년 목판본 윤선도(尹善道) 고산유고(孤山遺稿) 6권6책완질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1791년 목판본 윤선도(尹善道) 고산유고(孤山遺稿) 6권6책완질
    1791년 목판본
    9,0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3,567
어제
11,301
최대
13,072
전체
6,601,706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2,923,810,000원/13,144건
근대도서
3,164,537,973원/40,088건
근대시집
367,097,500원/2,677건
희귀고서적
1,075,390,000원/2,684건
교과서
373,430,000원/4,441건
간찰
55,835,000원/1,058건
한국미술품
434,094,000원/3,710건
일본미술품
1,014,635,500원/24,048건
중국미술품
515,691,000원/9,862건
기타
985,688,500원/10,381건
전체합계
10,910,209,473원/112,093건
1791년 목판본 윤선도(尹善道) 고산유고(孤山遺稿) 6권6책완질 > 고서적

1791년 목판본 윤선도(尹善道) 고산유고(孤山遺稿) 6권6책완질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코드 1609854146
제조사 또는 연대 1791년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9,000,000원
포인트 90,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0.3*30.3센치

보외1층스텐장308상1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

이 책의 편목을 보면, 권1에는 오칠언()의 고시·율시·절구·회문()·집고() 등 250편이 실려 있고, 권2에는 <병진소 > 등 16편의 소()가 실려 있다. 권3의 상권에는 <국시소 >·<논예소 > 등 13편의 소와 <예설 > 2편이 있고, 하권에는 <상친정서()>를 비롯한 17편의 서()가 있다.

권4에는 <답이현풍서 > 등 100편의 서가 수록되어 있다. 권5에서 <여갑산백서 > 등 21편의 서는 상권에 있다. 하권에는 13편의 축문, <향사당조약 > 1편, 4편의 서(), 2편의 설, 비명 5편, 잡저 5편, <산릉의 > 등 의() 12편, 잡록 3편, 기 2편이 실려 있다.

권6은 별집으로 상권에는 시 8편, 부() 4편, 논 3편, 책() 6편, 표전() 4편이, 하권에는 ‘가사()’라는 표제 아래 75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고금영 >·<증반금 >·<초연곡 >·<파연곡 >·<어부사시사 >·<어부사여음 >·<몽천요 >·<견회요 >·<우후요 > 등이 하권에 수록된 시조이다.

이 책에 실려 있는 글 가운데 중요한 자료로는 <병진소>·<국시소> 등 시정()에 관한 상소문을 들 수 있다. <논예소()>·<예설> 등 예학에 관한 논의와 <산릉의> 등도 조선조의 정치사·사상사 및 당쟁에 관한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별집에 실려 있는 시조 또한 시가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병진소>는 1616년(광해군 8) 윤선도가 30세의 성균관 유생으로서 올린 글이다. 선조가 죽은 뒤 광해군 옹립에 공을 세운 대북()의 영수 이이첨() 일파의 전횡과 이것을 알면서도 모른 체한 영의정 박승종(), 왕후의 오빠 유희분()의 죄상을 낱낱이 들어 탄핵하였다.

그러나 이 상소문은 그 내용이 광해군에게 알려질 것을 두려워한 당시의 권신들에 의하여 감추어진 채, 그 보복으로 그의 아버지 유기()가 파직되고, 그는 이듬해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당하였다. <견회요>와 <우후요>는 이때 지은 작품이다.

조선조 예학논쟁의 발단이 된 윤선도의 <논예소>는 그가 73세 되는 1660년(현종 1)에 씌어졌다. 그 전해에 효종이 죽자, 효종의 계모후()인 자의대비 조씨( )의 복()을 당시 이조판서로 있던 서인(西)의 영수 송시열()의 의견을 좇아 기년( : 1년상으로 복을 입는 것)으로 정하였다.

이에 남인인 윤선도는 허목()·윤휴() 등과 함께 이에 반대하여 3년설을 주장하였다. 송시열 등은 효종이 둘째 왕자로 왕위에 올랐다는 사실을 들어 체이부정설( : 왕위의 계승이 윤리적 질서로는 정당하나 혈통상으로는 정당하지 못하다는 설)에 해당하므로 기년복이 합당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윤선도는 종통()의 정당함을 내세워 3년복을 입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하였다. 세자였던 소현세자()가 죽은 뒤 부왕 생전에 효종이 다시 세자로 책립되어 왕위에 올랐으므로, 둘째 왕자라고는 하지만, 적장자()와 다름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새로 왕위에 오른 현종이 기년설을 따랐으므로 남인의 주장은 관철되지 못하였다. 이듬해 <논예소>는 불살라지고, 윤선도는 함경도 삼수로 유배를 당하였다.

<국시소>는 윤선도가 71세 때인 1658년(효종 9) 동부승지로 있을 때 올린 글이다. 이 글에서는 본래 서인이었다가 남인이 된 정개청()의 서원을 철폐하고자 하는 송시열 등 서인의 의도가 부당함을 지적하였으나, 오히려 삼사()의 탄핵으로 삭직되었다.

<산릉의>는 72세 때인 1659년 효종이 죽은 직후 좌의정 심지원()의 요청에 의하여 산릉()을 살펴 그 적부를 논한 글이다.

본래 효종의 산릉은 수원()으로 정해져 있었는데, 일부에서 건원릉()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는 의론이 돌아 그 적부를 윤선도에게 판별하도록 하였다. 윤선도는 수원에 쓸 것을 주장하였으나 서인들의 반대로 묵살되고 건원릉 자리로 결정되었다.

<산중신곡>·<산중속신곡> 등은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임금이 탄 수레를 좇는 것)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경상도 영덕에서 2년간의 유배를 마친 뒤, 고향인 전라도 해남의 금쇄동()에 은거할 당시 지은 작품이다.

이후 윤선도는 예송() 후의 유배지로부터 1667년(현종 8) 풀려나게 되었다. 그 뒤 병자호란 당시 발견하였던 보길도()의 부용동()에 들어가 낙서재()를 짓고 은거하였다.

그 때에 지은 것이 만년의 절창 <어부사시사>이다. 정치적으로 불우하였던 윤선도는 벼슬길에서 벗어나 짐짓 어부의 생활을 하였고, 그 결과로 남겨진 많은 작품이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