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망와선생문집(忘窩先生文集)목록,권지1 1책낙질(조선시대)
상품 상세설명
망와선생문집(忘窩先生文集)목록,권지1 1책낙질(표지부분 떨어지고없음) 망와선생은 본명은 김영조(金榮祖)이며 광해군(光海君)4년(161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10(丙科10) 을 하여 이조참판까지하신분임 ** 풍산(豊山) 김씨임 **크기:30.6*20.1센치 *이세택(李世澤) 의 서문이 있음(1716(숙종 42)∼1777(정조 1).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맹윤(孟胤), 호는 조은(釣隱), 이황(李滉)의 후손으로 감역 이수항(李守恒)의 아들이며 경상도 예안 출신이다.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뒤 영조 29년(1753) 평시서 봉사로 정시 문과에 응시하여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정언 · 부수찬을 거쳐 헌납을 역임하였고, 1755년 부수찬 · 지평 · 교리를 지내고, 1756년 부수찬을 거쳐 집의 · 부교리 · 헌납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듬해 다시 헌납 · 지평을 거쳐, 1762년 승지에 올랐으며 그 이듬해 대사간이 되었다. 1771년 다시 대사간에 임명되고 이듬해 승지를 거쳐 1773년 대사헌을 역임하였고,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다시 대사헌으로 벽파 정후겸(鄭厚謙)을 탄핵하였다. 이어 《명의록(明義錄)》을 편찬할 때 찬집당상이 되었다. 저서로는 《조은유고(釣隱遺稿)》가 있다. **표제/저작사항 忘窩先生文集 : (幷)附錄 / 金榮祖 著 ; 金世澤 編 판사항 木板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1775 형태사항 6卷4冊 : 四周雙邊 半郭 20.8 x 15.2 cm, 10行19字 註雙行, 內向二葉花紋魚尾 ; 29.2 x 20.6 cm 주기사항 序: 崇禎紀元後三乙未(1775)...李世澤
상품 정보 고시
품명 |
상품페이지 참고 |
모델명 |
상품페이지 참고 |
법에 의한 인증·허가 등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국 또는 원산지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또는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