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판본 성주출신 학자,독립운동가 송준필(宋浚弼)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 20권11책완질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목판본 성주출신 학자,독립운동가 송준필(宋浚弼)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 20권11책완질
    목판본 성주출신 학
    2,2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5,574
어제
10,907
최대
13,072
전체
8,053,256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440,035,000원/14,096건
근대도서
3,205,028,500원/40,173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06,720,000원/2,756건
교과서
444,505,000원/5,516건
간찰
68,145,000원/1,219건
한국미술품
429,578,500원/3,651건
일본미술품
1,011,103,500원/23,918건
중국미술품
513,372,000원/9,847건
기타
1,083,568,500원/11,461건
전체합계
11,680,313,500원/115,320건
목판본 성주출신 학자,독립운동가 송준필(宋浚弼)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 20권11책완질 > 고서적

목판본 성주출신 학자,독립운동가 송준필(宋浚弼)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 20권11책완질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42646681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시대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2,200,000원
포인트 22,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목판본 성주출신 학자,독립운동가 송준필(宋浚弼) 공산선생문집(恭山先生文集) 20권11책완질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0.5*30센치

보내1층15상4

**일제강점기 때, 곽종석 등과 함께 파리장서사건에서 활약하였으며, 퇴계 학통의 성리설을 체계화시킨 학자 ·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성주 출신.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순좌(舜佐), 호는 공산(恭山). 아버지는 송기선(宋祺善)이다.

이진상(李震相)의 강학에 참석했고, 1886년(고종 23)부터 장복추(張福樞)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후에 김흥락(金興洛)의 문하에서 수학하기도 하였으며, 당시 영남의 석학들 문하에 폭넓게 왕래하며 수학하였다.1919년 유림의 독립청원운동인 파리장서사건(巴里長書事件)에서 곽종석(郭鍾錫) · 장석영(張錫英) 등과 더불어 활동함으로써 의리정신과 민족의식을 발휘하였다. 만년에는 김천에서 살았다.송준필의 성리설은 주로 이황(李滉)의 심합이기설(心合理氣說)을 따른 장복추의 영향 속에 형성되었다. 송준필은 성리설의 학통에서 이상정(李象靖)을 중시하여 주희(朱熹)와 이황의 정맥(正脈)을 이상정이라고 파악한다.나아가 이황은 마음을 통합적[渾淪]으로도 설명하고 분별적[分開]으로도 설명한 데 반해, 이이(李珥)는 통합적인 파악을 내세워 분별적 이해를 공격했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이현일(李玄逸) · 권상일(權相一) 등은 분별적 설명을 강조하여 통합적 파악을 거부한 반면, 이상정은 이러한 대립된 견해를 통합하여 이황의 본래 의도를 발휘하였다고 본다.송준필은 당시의 다양한 성리설에 대해 예리한 분석을 하고 있다. 이진상의 심즉리설(心卽理說)은 보통 사람의 마음이 아니라 성인의 마음을 가리킨 것이라 지적하면서도, 마음과 본성을 일치시켜 마음이 기질과 결합된 사실을 외면하는 것은 일치시킬 줄만 알고 분별하여 이해할 줄은 모르는 것이라 비판한다. 또한 전우(田愚)의 성존심비설(性尊心卑說)은 본성을 이(理)로 보아 존중하는 것을 시인하면서도, 마음을 본성과 상대시켜 비하했는데, 송준필은 이러한 견해를 거부하였다.송준필은 당시에 성리학설이 심즉리설이나 심즉기설(心卽氣說)로 양극적 대립을 보이는 현실을 서로 이기려고만 드는 것으로 깊이 경계하면서, 두 입장의 부분적 타당성을 인정하며, 동시에 심합이기설로 통합할 것을 역설하였다.송준필은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제6도를 심화시킨 『심통성정삼도발휘(心統性情三圖發揮)』(1928)에서 송대 성리설과 퇴계학통의 성리설을 정연하게 체계화시키고, 나아가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있다. 이 저술은 20세기 초에 정리된 성리학설의 일대 집약이라 할 수 있다.그 밖의 주요 저서로는 성리학에 관한 『대산서절요(大山書節要)』 · 『사물잠집설(四勿箴集說)』 등이 있고, 예학에 관한 『육례수략(六禮修略)』이 있다. 또한 수양론 및 윤리서로는 『오선생미언(五先生微言)』 · 『정학입문(正學入門)』이 있고, 역사서로는 『속속자치통감강목(續續資治通鑑綱目)』이 있으며, 문집으로는 『공산집(恭山集)』이 있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