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19*28.5센치
보외1층앵글45상2
**김광저
생졸년 미상. 고려 후기 충신. 호는 농암(聾菴)이다.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조부는 고려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낸 김중원(金重源)이다.
고려 때 밀직좌승선(密直左承宣)‧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공양왕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자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않고 무록산(武鹿山)으로 들어갔다.조선 태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의 벼슬을 내렸으나 거절하였다.
슬하에 아들 고려 호조판서(戶曹判書) 김순(金順)이 있다.
**김문기
**김문기는 1399년(정종 초년) 충청북도 옥천에서 출생으로, 처음 이름은 효기(孝起)이었는데, 장인의 이름이 효정(孝貞)이어서 문기(文基)로 고쳤다.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김관(金觀)이고, 아들은 김현석(金玄錫)으로 영월군수에 재직 중 그와 함께 순절하였다.
1426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부친상을 당하여 3년상을 치르는 동안 관직에 임명되지 않았다. 이후 예문관 검열 · 사간원 좌헌납을 거쳐 함길도 도진무(都鎭撫)에 임명되었다가, 내직으로 들어와 겸지형조사(兼知刑曹事) · 병조 참의 · 형조 참판 등을 지냈다.1455년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공조판서겸삼군도진무로 있으면서 은밀히 단종 복위운동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도중에 김질,정창손의 밀고로 계획이 발각되자 김문기를 비롯하여 성삼문 · 박팽년 · 하위지 · 이개 · 유응부 등은 체포되었으며, 유성원는 자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