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48*27.5센치
보외1층A1상
**조선후기 예조판서, 대제학,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성유(聖惟). 조형관(趙亨觀)의 아들로 조형만(趙亨晩)에게 입양되었다.
1859년(철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866년(고종 3)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고, 이듬해 동지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0년 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이듬해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 해 동지사의 정사로 재차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의정부좌참찬·대제학을 지내고 1873년 다시 예조판서로 임명되었다.이때 경무대(景武臺)에서 실시된 정시문과의 독권관(讀券官)이 되어 고종에게서 시관으로 공평무사하라는 명을 받들었다. 또한 예조판서 재직 중 최익현(崔益鉉)의 대원군 탄핵상소가 있자, 호조판서 김세균(金世均) 등과 연명상소하였다.최익현의 상소 중 국왕에게 개혁을 건의하는 논의가 없다고 한 것은 자신들의 죄였으므로, 처벌을 바란다고 하여 월봉3등지전(越俸三等之典)에 처하여졌다. 이듬해 전라도관찰사로 임명되어 당시 극심한 수재로 전주 등 각읍의 민호(民戶)가 피해가 많으므로, 각종 세납물의 상납 기일을 늦추어달라는 장계를 올렸다.또 전라도에 면포가 부족하므로 병조의 각 군문(軍門)과 각 아문의 번포(番布)를 돈으로 대납할 수 있도록 하여달라는 장계를 올리는 등 선정을 위하여 힘썼다. 1876년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